본문 바로가기

Soliloquy

A7s이 확실히 깡패구나.



밑의 이미지들은 http://www.dxomark.com/Cameras/Compare/에서 캡쳐함.





그 와중에 보이는 올림의 뻥감도......

(저기 보이는 수치가 E-M1)


어쨌든 E-M1과 GX7은 같은 ISO하에서의 노이즈는 차이가 보일지 몰라도, 어차피 전체적으로 SNR이 비슷[각주:1]하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되겠다.

(참고로 E-M10과 GX7은 딱 한 스탑 차이로 GX7이 좋다)







GX1과 GX7을 비교해보면 의외로 별 차이가 안 난다!!

GX1을 오래 써서 1600의 이미지가 어떻게 나오는지 잘 알고 있는데, GX1의 1600은 GX7의 1600과 별 차이가 없다(1.3dB 차이).

아무리 못해도 한 스탑은 좋아졌을 거라고 생각했는데, GX7의 3200은 GX1의 1600보다 못 하다. 

(SNR로만 따지면 내가 한계로 생각한 GX1의 1600은 A7s에선 12800이네.)


자세한 내용은 여기로..






그냥 끝내려다가 보는 김에 간단하게 나머지도..

대신 이미지는 없음.



DR은 800 이전까지는 A7s/GX7/GX1이 눈에 띌 정도로 차이가 크고(GX7의 DR이 좋아졌다는 게 사실이구나), 

800부터는 GX1과 GX7이 한 스탑 정도 차이.

A7s는 GX1이랑 비교하면 대략 네 스탑 정도 좋다.


Tonal Range나 Color Sensitivity도 GX1에 비하면 A7s가 세 스탑 정도 좋다.

GX1과 GX7은 반 스탑에서 한 스탑 차이.


이런 것만 보면 DxO Mark에서 GX7의 점수가 높지 않은 것도 이해가 간다.

하지만 뭐 GX7의 경우엔 기계적 성능과 뷰파인더, 그리고 화밸 처리 같은 프로세싱이 많이(편하게 쓸만한 정도) 좋아졌다니깐..








참고로 마포와 풀프레임의 노이즈가 왜 이렇게나 차이가 나는지에 대한 수학적인 계산 과정을 알아보고 싶으면 여기에 가면 된다.

뭐 A7s의 경우엔 'A7s이 화소가 더 적잖아!!' 같은 태클이 들어올 수도 있지만.. 사실 중요한 건 그게 아니니깐.





  1. 이 포스트 내내 비교 기준은 Screen(RAW 100% 크기). DxOMark의 기본 설정은 Print(300dpi에 8"x12"로 인화한 사진=8메가 픽셀)지만 어차피 나는 인화가 중요한 게 아니니깐. 참고로 인화하면 전체적으로 값들이 좋아지고, 차이도 줄어든다. [본문으로]

'Soliloqu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......  (0) 2014.08.23
한동안 GRD4의 사진이 참 마음에 들지 않았었는데  (0) 2014.08.23
글꼴이 이상해졌네..  (1) 2014.08.14
굽네 치킨을 시켰더니..  (0) 2014.08.10
건프라를 처음 만들어봤다.  (0) 2014.08.03